DB/SQL 기초

데이터 모델링이란?

케이(kay) 2022. 8. 13. 04:31
반응형
SMALL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의 흐름을 도식화 하는 과정이다.

 

 

구성요소

  1. 구조: 개체들 간의 논리적 관계
  2. 연산: 데이터 처리 방식
  3. 제약조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논리적 제약

 

 

모델의 종류

 

- 계층형 데이터 모델(Hierarchical Data Model)

트리 형태, 1:n 노드관계, 데이터 구조화, 과거 업무 중심적

https://images.app.goo.gl/zxhtCSqZhL88nc548

 

-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Network Data Model)

그래프 구조, m:n 노드관계, 구조변경이 어려워 확장성 떨어짐

 

https://images.app.goo.gl/XFZkNLuZN7djBbbu8

 

- 관계형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

2차원 테이블 구조, 실제 세계의 고유한 객체(엔터티)로 식별되어 저장, 간단하고 이해가 쉬움,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됨

대표적인 DBMS로 oracle, my sql 등이 있다.

https://images.app.goo.gl/gFJ6KZosua4Y8ZmF7

 

- 객체 지향형 데이터 모델(Object-Oriented Data Model)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구조, 데이터와 방식(method)을 객체로 통합, 이해&유지&변경에 용이, 상용화 되지 않음

 

https://images.app.goo.gl/GT7Rv2y1LrdqxyXc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