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이번 장에서는 정규화 절차(제1-5 정규화)는 구분하지 않았다.
정규화가 필요한 경우
- 데이터 무결성: 임의의 갱신으로부터 보호, 규칙/제약(constraint)
- 엔터티 무결성 : 기본키 = not null
- 도메인 무결성: 성별(M,F) ((정해진 값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안된다))
- 참조 무결성: 부모 → 자식 ((CONSTRAINT FOREIGN KEY REFERENCES)) << 자식 쪽에서 참조
반정규화가 필요한 경우
- 디스크 입출량이 많아서 성능이 저하될 때 → 자주쓰는 데이터를 합계(<>분할) 시켜둠
- 조인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 될때
- 컬럼을 계산하여 읽어서 성능이 저하 될 때
반응형
LIST
'DB > SQL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기본개념 - 사용자에게 시스템과 역할(ROLE)에 대한 권한 부여하기 (0) | 2022.09.09 |
---|---|
SQL 기본개념 - SELECT 구문 구조 파악! (0) | 2022.09.07 |
INT와 INTEGER 무엇이 다를까? (0) | 2022.09.06 |
관계형 DB & DB 모델링. 혼동되는 용어 구분하기 (*중복주의) (0) | 2022.09.06 |
테이블 참조- PRIMARY KEY, FOREIGN KEY (*무결성 제약조건 해결방법)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