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데이터 타입에서의 차이가 있다고 하여 찾아 보았다.
이 두 개념은 사실 100% 이해가 가지 않았기 때문에 개념을 정리하고,
실제로 사용 후 예시를 만들어서 정리할 예정이다.
따라서 두 개념의 차이만 인지하고 각 세부 설명 및 예시 장단점 등은 다루지 않았다.
|
INT |
INTEGER |
데이터 타입 | 자료형(primitive) |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 |
산술 연산 | 가능 | 언박싱(unboxing) 후 가능 |
null 값 처리 | 불가 (기본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
가능 (따라서 SQL 연동 시 편리) |
제네릭(generic) 여부 | 불가 | 가능 |
저장 영역 | 스택(stack) 영역 | 힙(heap) 영역 |
자료형(primitive type)이란?
boolean(true/false), char(문자형), int(숫자형)...등 실제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란?
기본 타입의 데이터를 객체로 포장해주는 클래스이다.
언박싱(unboxing)이란?
변환이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다시말해 변환 후!!
제네릭(generic)이란?
데이터의 타입(data type)을 일반화한다(generalize)는 것을 의미한다.
스택(stack) 영역이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힙(heap) 영역이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이다.
반응형
LIST
'DB > SQL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기본개념 - SELECT 구문 구조 파악! (0) | 2022.09.07 |
---|---|
정규화, 반정규화(비정규화)는 언제 해야할까? (0) | 2022.09.07 |
관계형 DB & DB 모델링. 혼동되는 용어 구분하기 (*중복주의) (0) | 2022.09.06 |
테이블 참조- PRIMARY KEY, FOREIGN KEY (*무결성 제약조건 해결방법) (0) | 2022.08.18 |
WINDOW 함수 - CUME_DIST, NTILE, RATIO_TO_REPORT, PERCENT_RANK (*비율 함수 정리) (0) | 2022.08.16 |